본문 바로가기
생활

새해 계획 세우기

by haru_review 2021. 12. 27.
반응형

새해가 다가오면 많은 사람들이 새해 계획을 세웁니다. 저 역시 새해를 맞이할 때마다 새해 계획을 세웁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돌아보니 세운 계획을 많이 이루지 못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올 해는 좀 더 구체적인 기준을 가지고 새해 계획을 세우려고 합니다. 여러분도 새해 계획을 세우면 참고가 되시면 좋겠습니다. 

 

목적과 실천내용을 구분하자 

새해 다짐을 하면서 많은 실수를 하는 것이 목적과 실천할 내용을 혼돈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건강해지기라는 계획은 목적에 해당합니다. 건강해지기 위해서 운동을 하기라는 계획이 있다면 운동을 하는 것은 실천 내용에 해당합니다. 돈을 모으기 위해서 파이프라인 하나 더 늘리기라는 계획이 있다면 돈을 모으는 것이 목적이고 파이프라인 하나 더 늘리는 것은 실천 내용이 됩니다. 

 

이와 같이 목적과 실천내용을 구분해서 계획을 세울 때에 뚜렷한 계획 설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하나의 목적을 다양한 각도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목적 설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 년이라는 시간을 보내다 보면 많은 변수가 발생합니다. 그때마다 목적이 분명하다면 유연성 있게 실천 내용을 설정해나갈 수 있습니다. 실천 내용을 하는 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목적에 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숫자를 이용하자

어린왕자에는 어른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묘사합니다. 그중에 하나가 어른들은 숫자를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어린 왕자는 비판적으로 어른들의 딱딱함을 묘사한 것이지만, 숫자를 즐겨 사용하는 것이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숫자를 이용할 장점은 심플하다는 것과 가시화 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성취 정도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 하나 성취되어 가는 것을 볼 때에 성취감을 느끼고 그 일을 끝까지 마무리 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건강해지기 위해서 운동하기 라는 계획이 있다면, 계획에 숫자를 더하는 것입니다. 건강해지기 위해서 3개월 헬스장 등록해서 운동하기. 여기에 숫자를 더 더할 수 있습니다. 건강해지기 위해서 3개월 동안 헬스장 등록해서 오후 8시에 가기. 계획에 숫자를 더하는 것만으로도 무엇을 해야 할 지 명확해지고, 명확해진 계획은 실천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완벽보다는 완료를 목표으로 하자

페이스북(메타) 본사에는 Done is better than perfect 글귀가 적혀 있다고 합니다. 완벽하게 하는 것보다는 일단 해서 마무리 짓는 것이 더 낫다는 말입니다. 완벽을 추구하다 보면 포기하거나 미루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실제로 완벽주의자들에게서 게으른 사람이 더 많다고 합니다. 전문성을 요하는 일이라면 완벽을 추구해야 하겠지만 이 때 역시도, 마감 시간을 지키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살아온 시간들이 쌓이면서 생기는 지혜 중 하나는 내가 그리 대단하지 못한 사람인 것을 인정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한계가 있고, 실수와 실패도 할 수 있으며, 특별할 범인이 아니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세상을 너그럽게 대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습니다. 완벽한 것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2년 새해 계획 

목적 건강해지기 

실천내용 

  • 허리디스크 치료를 위해서 1월 10일까지 휴식하기 
  • 영양제 비타민, 오메가, 유산균 챙겨 먹기 
  • 2월부터 헬스장 등록해서 저녁 8시에 운동하기 
  • 6월부터 복싱 배우기 

 

목적 돈 모으기(구체적인 금액은 공개하지 않음)  

실천내용

  • 수입의 60% 저축하기
  • 블로그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 일 년 동안 포스팅 1000개 하기 
  • 경제, 주식 공부하기 - 관련 서적 한 달에 한 권이상, 공부 내용 정리해서 포스팅 하기 

목적 영어 블로그 만들기  

실천내용

  • 온라인 영어 글씨기 강의 1월부터 듣기
  • 1월에 영어 포스팅 할 블로그 만들기
  • 1월부터 영어 포스팅 일주일에 하나씩 하기  
반응형

댓글